칠형제봉리지
개 요 천불동계곡과 화채릉,
천화대를 조망할 수 있는
설악에서 가장 아름다운리
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천불동 계곡과 잦은바위골
사이에 놓여있는 리지는
공룡능선까지 길게 이어져
용소골과 잦은바위골 좌골
에서 갈라지는 능선의 안부
에서 보통 등반을 마친다.
큰 특징은 초입부터 3분의
2지점까지 계단식 직상크
랙을 제외 하곤 거의 걷는
루트로 구성돼 있으며, 나
머지 암릉지역도 봉우리
오른쪽으로 우회로가 잘
나있는 편이어서 초급자들
은 우회가 가능하다.
(2피치 구간부터 중급이상
등반능력을 등반이 가능
하며 볼트의 고정확보물이
없어 유의한다.)
리지 초입부
접근로 비선대 산장에서 천불동계곡
으로 접어들어 설악골을 알리는 이정
표와 문수담을 소개하는 안내판을 지
나며, 이후 잦은 바위골을 알리는 이
정표가 보이고 바로 앞의 철다리를
건너자 마자 작은공터가 나타나는데
가파른 사면을 따라 약 15분 정도 오
르면 귀면암이 잘 조망되는 작은 고개
에 이른다.이곳에서 가파른 사면을 따
라 좀더 오르면 평탄한 솔숲길이 나오
고 이어 내리막길이 나타나면서 공룡
능선이 보이기 시작한다.
등반길잡이
1피치 내리막 길의 안부에서 곧바로 올라가는 길을 따르면 계단식 직상크랙(5.7)이 나온다. 크랙에 프랜드
를 설치하고 오르다 보면 크랙 사이에 자빠진 나무가 있는데 잡을 때 주의를 요한다. 이어 누은크랙을 따라
올라가 암각에 확보한다.
1피치 하강포인트 전에..등반을 마치고 걸어 오르면 작은 고개가 나온다. 이 고개에서 내리막길처럼 보이는
앞사면으로 가지말고 약간 왼쪽으로 가면 절벽이 나온다.
절벽 끝에 있는 소나무에 자일을 걸고 약 20m 하강한다.
2피치 정상
2피치 등반할 경우 벽 정면에 보이는 언터크랙(5.9)을 이용해 약간 왼족으로 간 다음 오른쪽에 있는 짧은 침
니를 오른다. 이어 그 오른쪽에 있는 침니를 올라 걸어 가다보면 2~3미터의 쉬운크랙이 나오고 곧 이벽 정
상에 설 수 있다. 정상 부근에 박혀있는 3개의 하켄에 슬링을 걸고 약 15m 하강하면 너른 암반이 나온다.
이 암반 앞엔 큰 봉우리가 보인다.
3피치 이 큰 봉우리는 곧바로 직상하는 것보다 오른쪽으로 약간 돌아 오르는 것이 좋다.
이어 짧은 오버행 밑으로 난 크랙을 지나 짧은침니 처럼 보이는 속을 지나면 좁은 테라스의 오른쪽으로 살짝
가야한다. 그 위로는 고도감이 대단한 곳(5.10a)급인데 크랙을 밑고 과감히 올라야 한다.
이곳을 지나면 작은 나무가 보이고 그 윗부분에 확보물을 설치하면 된다.
까다로운 4피치 등반
4피치 약 25m의 쉬운 크랙(5.6)으로 별 어려움 없이 오를 수 있으며, 피치를 종료한 지점에 암각 또는 프랜
드를 이용해 확보하면 된다.
왼쪽 5피치 &오른쪽 6피치 등반
5피치 4피치 바로 앞에 있는 페이스(5.8)를 오르는 것이 관건. 우측으로 약간 돌아 등반을 시작해 왼쪽의
크랙으로 직상하면 작은 침봉 밑에 닿게 된다.
그 위로는 등반이 가능하나 점핑 등의 개척 장비가 없다면 암각에 슬링을 걸고 약 20m 하강해야 한다.
2피치부터 6피치까지 우회가 가능. 하강 지점 잣나무 바로 아래 암각에 슬링 포인트 찾을 수 있다.
6피치 잣나무가 있는 곳에서 오른쪽의 쉬운 페이스(5.6)을 올라 완만한 사면을 걸어가면 확보용 잣나무에
닿게 된다. 이후 조금 걸어가면 이 봉우리의 정상에 설 수 있다. 이곳에 있는 암각을 이용하여 약20m 하강
한 후 내려오면 전망이 좋은 작은고개에서 넘어오는 우회로와 만나게 된다.
시작하는 정면 벽 오른쪽으로 가면
수직 절벽이 나오는데 이 벽을 끼고
소나무에 슬링을 걸고 돌아가면 한
사람이 지나는 개구명이 나온다.
오르막길을 따라 조금 더 오르면 길
왼쪽에 작은 갈림길 길을 따라 가면
너른 암반이 나오는데 2피치 하강
지점과 만나게 된다. 인원이 많을
경우 여기서 점심을 먹는 것이 좋
다.
리지상에서 본 화채릉 풍경
이후 왔던 길을 되돌아 나와 우회로를 따라 가파른 사면을 오르면 전망 좋은 작은 고개에 이르게 되는데 이
고개에선 3피치 부터 6피치에 암릉을 전반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내리막으로 내려가면 6피치에서 내려오는 길과 만나게 되고 좀더 올라가면 잦은 바위골 좌골에서 시작된 산
사태 사면이 나온다. 예전에는 우회로를 따라 어느정도 오르면 잦은 바위골과 용소골이 갈리는 안부에 도착
해 용소골로 하산했다.
태풍 루사로 새로 생긴 하산로
그러나 지금은 좌골에 사태가 생겨 새 길이 생기는 바람에 용소골로 갈 필요 없이 좌골로 내려가면 하산
시간을 훨씬 줄일 수 있다. 잡목을 해치고 사태가 발생한 곳을 따라 내려오면 좌골과 우골이 만나는 합수
지매에 닿게 된다.
단, 이곳은 하산시 지반이 불안정하므로
낙석에 주의한다. 등반을 마치고 걸어오
르면 작은 고개가 나온다. 자잘한 바위
로 형성된 전망 좋은 짧은 암릉지대가
나오면서 산사태가 발생한 잦은바위골
좌골과 우골의 50m 폭과 100 폭이 잘
조망된다. 이 고개에서 내리막길 처럼
보이는 앞 사면으로 가지 말고 약간 왼
쪽으로 가면 절벽이 나온다. 바위면을
바라보면 짧게 클라이밍 다운하는 곳이
나오는데 바위면의 홀드를 잘읽고 힘을
주면 무난하게 내려설 수 있다. 여기에
서 가까운 곳에는 하켄이 한개 박혀있는
암각이 있다. 절벽 끝에 있는 소나무에
자일을 걸고 약 20m 하강한 후 약간 걸
어 좁은 안부가 \나온며 등산로를 만나
게 된다. 2인 1조 경우 60m자일 1동,
프렌드 1조, 퀵도르 10개 가능. 비선대
를 출발해 등반을 마치면 7~9시간 소요
'등반정보 > 설악산개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바위 돌잔치길 종주등반 (0) | 2007.09.03 |
---|---|
천화대 등반자료 (0) | 2007.08.09 |
저봉리지 (0) | 2007.08.01 |
설악산 유선대 채송화향기 (0) | 2007.07.20 |
울산바위 나드리길 (0) | 200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