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벽기술

등반자 추락시 확보보는 방법

by 청아 김종만 2009. 6. 16.

 # 등반자 추락시 확보보는 방법

                                                                                           이렇게 갑자기 잡으면 벽에 그대로 꽝~~        충격없이 떨어지도록 다이나믹 확보를 보자. 

 등반자가 추락시 확보자는 순간적으로 줄을 당겨 버릴

 있다. 등반자를 안전하게 잡는다고 줄을 잡는 경우 등반자

 가 벽에 부딪치면서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등반자가 추락할 때는 줄을 풀어주어 순간 정지 시키지

 는것이 좋다.(다이나믹 확보를 보면 안전하다.)

 줄을 풀어 줄 여유가 없을땐 확보자가 전진하거나 물러서면

 서 줄을 풀어주는 효과를 주어야 한다.

 PS) 다이나믹 빌레이: 등반자가 추락시 순간적으로 등

 자를 잡지 않고 약간 더 떨어트려 추락 충격을 완화키는

 것.

 

 1. 확보자의 자세


 확보자의 자세가 안정되어 있어야 완전한 확보보기가 가능

 하다. 등반자가 추락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확보자의 자세

 를 흩어지게 하여 바위와 충돌하게 하거나, 제동자세를

 치게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확보자가 등반자의 추락에 대비하여 적절한 위치나 자세를

 취하지 않고 있다면, 락이 일어나순간 확보자는 확보

 에 실패하게 되는 것이다.

 추락충격의 방향은 선등자냐 후등자냐에 따라 다르고, 선등자의 확보물 통과 전.후에 따라 다르고, 등반자의 등반방향에 따라 다르고 등등 그 상황은 매우

 다양하게 변한다.

 확보자의 자세는 등반자가 추락을 할 경우 충격이 어느 방 향으로 전달되는가를 판단하고 그 방향의 충격에 대비하여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것이다. 

 확보자는 추락의 충격방향쪽을 대비하여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함과 동시에 그 방향에 맞추어 확보줄을 팽팽하게 해야 한다.

 확보줄이 느슨하다면 추락의 충격이 전달될 때, 그 여유만큼 확보자의 몸이 딸려 가게 될 것이다.


 2. 직접확보와 간접확보


 확보자가 확보지점에 자기확보를 마치고 등반를 확보하는 방법에는 추락의 제동

 을 신체를 이용하여하는 직접확보방법과 확보지점을 이용하여 제동을 하는 간접확

 보가 있다. 다시 말해서 추락의 충격을 1차적으로 확보자몸으로 직접흡수하

 제동하는 것이 직접확보이고, 락의 충격을 확보지점에서 제동하는 방법이 간접

 확보이다. 추락의 충격을 흡수하는 주체가 어느 곳인가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직접확보> 추락의 충격을 확보자의 신체탄력으로 흡수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격의 량을 완화시켜 추락자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확보지점에 전달되는

 충격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반면 추락충격으로 인하여 확보자가 완전한 자세를 취하지 않았을 경우 자세가

 트러 지며 바위와 충돌할 수 으며, 확보동작이 다소 불편한 단점이 있다.

 <간접확보> 확보동작이 편하고, 추락의 충격으로 인한 확보자의 위험이 적다장점은 있지만, 강한 추락충격고정된 확보지점일시적으로 전달되어

 확보지점이 파괴될 수 있으며, 추락자가 받는 충격도 직접확보에 비크다는 단점이 있다. 바람직한 확보방법은 직접확보이다.


추락의 충격을 확보자의 몸으로 받아 내게 되므로 확보자의 자세가 흩트

러 지는 것과 부상의 위험정할 수 있으나, 추락자의 위험에 비하면

문제도 아니므로 우선 추락자의 안전에 우선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기본

적인 확보지점이 파괴된다는 것은 치명적인 것이므로 확보지점의 위험성

을 최대한 배제해야 하는 이 중요하기 때접확보방식이 바람직

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는 확보지점은 확실하나 직접확보

를 위한 안전한 자세를 취할 수 없는 곳이 있며, 이러황에서는 간

확보가 더 안전할 수 있다. 또 확보지점이 확실한 곳에서 큰 추락의 충

격이 발생될 가능성이 없는 후등자확보에는 확보동작의 편성을 위해

접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간접확보를 사용할 경우 확보지점이 완벽

야 하며, 확보지점이 불안할 경우에는 반드시 직접확보를 해야 한다.

한 직접이던 간접이던 확보지점에 자기확보를 하는 것과 정확한 제동동작을 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3. 하프클로브 히치 확보

 이 확보 방법은 뮌터히치, 또는 반까베스땅 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프 클로브히치 매듭을 이용하면 특별한 확보기구없이 잠금카라비너를 이용하여 안전환

 확보를 할 수있다. 이 확보방법은 비교적 제동력이 우수하고, 등반로프 쪽과 제동로프 쪽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추락의 제동시 로프

 가 심한 손상을 입는 단점이 있다. 주의할 점은 반드시 큰 잠금 카라비너를 사용하고, 한쪽이 넓은 H.M.S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HMS는 한쪽이 매우 넓은 잠금카라비너로 하프클로브히치 빌레이를 뜻하는 독일어의 약자이다.



 4. 신체를 이용한 확보

신체를 이용한 확보방법은 과거에 어깨확보, 무릅확보등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나 모두 안전한 확보방법이라할 수 없

 다. UIAA에서 인정하는 신체 확보방법은 허리확보(Hip Belay)

 뿐이다. 허리확보는 로프를 허리(정확하게는 허리와 히프중간)

 에 감아 추락하는 충격을 로프와 허리의 마찰을 이용하여 제

 하는 방법이다.

 

 5. 신체를 이용한 허리확보(Hip Belay)

 등반자쪽의 로프를 잡은 왼손을 감지손(Feeling Hand), 추

 시 제동의 역할을 하는 오른손을 제동손(Braking Hand)라고

 한다.

 중요한 것은 등반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고 하는 확보동작시,

 제동손이 한순간이라도 로프를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확보동작

 을 익혀야 하는 것이다.

 제동손(오른손)이 로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확보동작

 락시 제동손은 로프를 놓치지 않도록 꽉잡고 로프로 몸을 감아

 잡아 주어야 한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확보지점과 추락의 충격이 전해지는 로

 프의 방향이 직선상에 있지않을 경우 몸이 돌아가는 상황이 벌

 어지고 아울러 확보자세가 흐트러짐으로 인하여 제동자세를 놓

 칠 수 있다는 것이다. 추락충격이 전달될 때 몸의 자세가 흐트

 러지지 말아야 한다.

 


6.  빌레이 로프조작
a. 선등자 확보를 위한 로프 조작 - 로프를 풀어주는 확보

b. 후등자 또는 톱로핑을 위한 확보의 로프조작 - 로프를 당기는 확보 


c. 제동손으로 로프를 잡는 방법

 d. 추락자의 고정

 

 6. 기구를 이용한 확보

 기구를 이용한 확보방법은 신체를 이용한 확보방법에 비해 보다 확실하고 안전한 확보를 가능케

 한다. 확보기구로 쓰이는 것들은 원래부터 확보목적으로 만들어진 것과 하강기용의 기구를 확보

 용도로 공용하는 것들이 있다. 이 확보기구들의 기본원리는 확보기구에 로프를 통과시켜줌으로

 써 전달되는 추락의 충격을 로프와 확보기구의 마찰로 제동을 하는 것이다. 최근에 가장 많이 사

 용되는 확보기구는 튜브형 하강기와 8자하강기가 있다.

 이들 확보기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사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동

 으로 제동이 되는 확보기구인 패츨사의 "그리그리(Gri-Gri)"같은 확보기구도 매우 편리하고 우한 확보기구이지만 정확한 사용법고 있어야 한다.

 확보기구를 이용한 확보방법 또한 신체를 이용한 확보에서와 마찬가지로 제동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7. 여러가지 확보기구들

a. 그리그리 확보

고정자일로 등강기 주마링시 그리그리사용법

b. 리버소 확보

 

 

8. 정적확보와 동적확보

등반자가 추락을 할 경우, 그 충격을 확보자가 어떠한 방법으로 흡수시키며

제동하는가에 따라 추락자, 확보물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적확보(Static Belay)

등반자 추락시 확보자가 추락의 충격이 전달되기 전에 안전하게 제자세

취하는 것으로 로프를 놓칠 위험이 없는 방법이다.

그러나 강한 추락의 충격이 완충 작용없이 그대로 추락자, 확보물, 확보기구

등에 순간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추락자의 신체손상, 확보물의 파괴, 로프

의 손상등의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동적확보(Dynamic Belay)

추락이 발생하는 순간 충격이 확보기구에 전달되면 기술적인 제동손의 조

으로 서서히 제동을 하는 방법이다.

이 동적확보는 정적확보와는 반대로 실수할 경우 제동을 못하고 놓칠 위험

 있지만, 충격을 흡수시키면서 제동을 하기 때문에 추락충격을 완화시키

는 장점이 있다.

 









 9. 추락계수(Fall Factor)

 추락의 충격을 단순히 물리학적인 계산식은 '자유낙하의 위치에너지 = 질량(m) x 중력가속도(g) x 높이(h)'

 예를 들어 체중이 70kg인 사람이 10m높이에서의 위치에너지는 70kgx9.8x10m=6.860J(주울)인데, 쉽게 6.9톤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추락상황은 로프, 슬링, 확보물, 추락자, 확보자등 여러가지 충격 흡수요소에 의해 상당량의 충격이 흡수. 감소된다.

 충격 흡수요소중에서 가장 크게 충격흡수에 기여하는 것은 적당한 신축성을 지니고 있는 로프이고, 다른 요소들의 충격흡수량은 추락길이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추락길이가 길더라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가 충분히 길면 추락의 충격은 상당부분 흡수되고, 반대로 추락길이 짧아도 상대적

 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가 짧으면 위험할 수 있는 것이다. 추락충격에 의한 위험의 척도를 '추락계수'라 하고 이 추락계수는 추락

 길이에 정비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추락계수 = 추락길이

              / 추락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추락계수 2 는 등반중의 추락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

 쁜 상황이다. 이것은 어떠한 희생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반중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추락계수 1 을 초과하지 않

 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락계수에 대한 다음의 그림을

 보면 추락길이가 길면 위험하고 짧으면 안전하다는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20m를 추락하여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에 따라 추락계수는 2가

 될 수도 있고 0.5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추락계수를 작게 하는 요령은 출발직후에 중간확보물을 자

주 설치하고 높이 올라갈 수록 설치빈도를 줄여가는 것이다.